대한민국 계엄

By | 2024년 12월 04일

대한민국 역사상 계엄은 헌정 위기, 국가 비상사태, 정치적 혼란 속에서 발동된 사례가 있습니다. 아래는 시간대별로 주요 계엄 사례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


1. 1948년 여수·순천 사건 계엄

  • 발동 시점: 1948년 10월
  • 배경: 여수·순천 지역에서 남로당 주도의 군 반란 사건 발생.
  • 목적: 군사적 반란 진압 및 질서 회복.
  • 특징: 대한민국 최초의 계엄.

2. 1950년 한국전쟁 계엄

  • 발동 시점: 1950년 6월 25일
  • 배경: 한국전쟁 발발.
  • 목적: 전시 상황에서 국가 통제 강화.
  • 특징: 전시 계엄으로 전국에 적용되었으며, 전쟁이 끝난 후 단계적으로 해제됨.

3. 1961년 5·16 군사정변 계엄

  • 발동 시점: 1961년 5월 16일
  • 배경: 박정희 소장이 주도한 군사 쿠데타.
  • 목적: 정권 장악과 정치 체제 재편.
  • 특징: 계엄을 통해 정권이 군사혁명위원회로 이양됨.

4. 1972년 10월 유신 계엄

  • 발동 시점: 1972년 10월 17일
  • 배경: 박정희 대통령이 유신 체제를 선포하며 비상계엄 발동.
  • 목적: 헌법 개정 및 권위주의 체제 구축.
  • 특징: 국회를 해산하고 언론을 통제하며 권력 집중.

5. 1979년 10·26 사태 계엄

  • 발동 시점: 1979년 10월 26일
  • 배경: 박정희 대통령 피살 사건.
  • 목적: 정국 혼란을 방지하고 치안 유지.
  • 특징: 비상계엄 확대(서울 등 주요 도시에서 전국으로 확대).

6. 1980년 5·18 광주 민주화 운동 계엄

  • 발동 시점: 1980년 5월 17일
  • 배경: 전두환 중심의 신군부가 정권 장악 시도.
  • 목적: 민주화 운동 진압 및 정권 통제.
  • 특징: 광주에서 민주화 운동이 계엄군에 의해 강경 진압되며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.

참고:

계엄은 헌법에 따라 국가의 비상사태에서 발동될 수 있지만, 현재는 국민적 동의 없이는 사용하기 어려운 제도로 인식됩니다.